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억 있으면 95% 세계 1등 이 주식 사라

by 퍼스트소식통 2025. 5. 14.
반응형

김대종 교수는 최근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1억으로 시작해 1조 자산가가 되는 길"에 대해 심도 깊은 인사이트를 제공했습니다. 그중 핵심은 “시가총액 1위 기업에 장기 투자하라”는 것이었으며, 미국과 한국 비중 90:10 투자 전략을 강조했습니다.

전체 영상 보러가기👆

📌 미국 주식이 1등인 이유

김 교수는 다음과 같은 수치를 근거로 미국 시장 투자의 중요성을 역설합니다:

- 전 세계 주식 시장 비중: 미국 60%, 한국 1.6%
- S&P 500, 나스닥 평균 상승률: 연평균 30%
- 미국 국민의 투자 방식: 70% 이상이 401K 등으로 주식에 투자

“미국의 주가는 일시적으로 폭락해도, 결국은 제자리로 돌아오고 더 오른다.”

📌 시가총액 1위에 투자하라

김 교수는 워렌 버핏의 애플 투자 사례를 언급하며, 미국의 시총 1위 기업을 계속 매수하거나 갈아타는 전략을 추천합니다.

- 워렌 버핏도 애플 3억 주 중 1억 주는 매도했지만 여전히 50% 이상 보유
-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기업에 장기 투자
- 한국에서는 삼성전자가 대표

📌 미국 90%, 한국 10% 투자법

김 교수는 “글로벌 포트폴리오 구성은 미국 90%, 한국 10%가 가장 안정적”이라고 조언합니다.

- 미국은 기술주 중심의 고성장 시장
- 한국은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제한된 범위 내의 투자

📌 주식은 무조건 장기투자

폭락장에는 손대지 말고 본업에 충실하라고 강조합니다.

“주가가 떨어졌을 땐 잊어버려라. 주식은 결국 제자리로 돌아온다.”

📌 부자가 되려면 부동산 + 주식 병행

김 교수는 "자산의 75%가 부동산에 몰려 있다"며, 부동산과 주식을 병행할 것을 추천합니다.

- 자녀에게 청약통장을 15세부터 가입시켜야 함
- 부동산은 서울 위주, 주식은 미국·한국 시가총액 1위

📌 미국이 기업의 천국인 이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추구했던 미국의 정책은 투자 친화적인 구조:

- 법인세 21% → 15% 인하 추진
- 규제 70% 철폐
- 공장 설립 시 땅 무상 제공, 세금 면제

반면 한국은:
- 법인세 26% (세계 최고 수준)
- 상속세 60%
- 우버, 에어비앤비 금지
- 해고가 어려운 노동 시장

김 교수는 이런 규제 때문에 한국이 글로벌 투자의 낙후지로 전락하고 있다고 비판합니다.

📌 결론 – 1억 있으면 이렇게 투자하라

- 미국 주식 90%: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시가총액 1위 기업
- 한국 주식 10%: 삼성전자 위주
- 월급의 25% 이상은 주식에 투자
- 청약통장도 자녀에게 15세부터 가입

✅ 실천 요약

미국 주식: 시총 1위 기업, 장기 보유
한국 주식: 삼성전자 중심, 10% 비중
투자 습관: 월급의 25% 투자, 하락 시 무대응
부동산: 청약 통장 15세부터 가입

전체 영상 보러가기👆

반응형